[그래픽뉴스] 코로나에 엥겔지수↑<br /><br />코로나19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OECD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높아진 엥겔지수 때문에 저소득층의 살림살이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커졌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엥겔지수는 전체 가계 소비에서 식료품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 수치죠.<br /><br />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, 독일, 일본, 프랑스 등 G5로 불리는 주요 5개국과 한국의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, 한국은 코로나 직전인 2019년 11.4%에서 2021년 12.8%로 1.4%포인트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같은 기간 G5 국가의 엥겔지수보다 높은 상승세입니다.<br /><br />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오른 건 국내 식품 물가가 급등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5.2%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G5 국가의 평균 상승률인 1.7%의 세 배 수준을 뛰어넘은 겁니다.<br /><br />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 또 하나의 요인, 바로 가계소비의 둔화입니다.<br /><br />전체소비에서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이 늘어난 건데요.<br /><br />실제로 우리나라의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식료품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이던 2019년 4분기 9.9%에서 2021년 4분기 10.7%로 0.8%포인트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보고서를 내놓은 한국경제연구원은 엥겔지수가 높아지면 특히 저소득층의 생계가 더 어려워진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가처분소득의 크기가 작은 저소득층의 경우 식료품 지출 부담이 증가하면 식료품 이외의 지출 여력까지 크게 낮아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실제 코로나 이후 소득분위별 식료품비 상승률을 살펴보면 소득 1분위인 저소득층이 소득 5분위인 고소득층의 1.1배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#코로나 #엥겔지수 #그래픽뉴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